냉이 냉이의 효능 냉이는 질경이와 마찬가지로 사람의 발길이 잦은 땅에 잘 자란다. 향기가 진하지만 줄기가 돋아나고 꽃이 피면 향기는 약해진다. 냉이는 오래 끓일수록 향이 진하게 우러나므로 무침이나 생채로 먹기보 다는 된장이나 국을 끓일 때 넣는 것이 좋다. 냉이 역시 본디 다른 나라.. 약초 이야기(가,나,다) 2016.03.31
골쇄보 ▶식물명=골쇄보 ▶다른이름=넉줄고사리 ▶학명=Davallia mariesii ▶분류=양치식물 고사리목 넉줄고사리과의 여러해살이풀 ▶골쇄보 산지의 바위나 나무껍질 등에 붙어서 자란다. 뿌리줄기는 길게 옆으로 뻗고 지름이 3∼5mm이며 잎이 드문드문 달리고 비늘조각으로 덮인다. 비늘조각은 줄 .. 약초 이야기(가,나,다) 2015.03.31
누로 (뻐꾹채) 허준이 쓴 <동의보감>에서는 이렇게 적고 있다. “누로(漏蘆, 뻐꾹채), 성질은 차며[寒] 맛이 쓰고[苦] 짜며[鹹] 독이 없다. 열독풍(熱毒風)으로 몸에 악창이 생긴 것, 피부가 가려운 것, 두드러기, 발배(發背), 유옹(乳癰), 나력(임파절에 멍울이 생긴 병) 등을 치료한다. 고름을 잘 빨아.. 약초 이야기(가,나,다) 2014.07.31
구지뽕 꾸지뽕나무는 뽕나무과에 딸린 작은키나무다. 생김새가 ‘굳이’ 뽕나무를 닮았다 하여 꾸지뽕나무라는 이름이 붙었다. 줄기에 길고 날카로운 가시가 있고 가을철에 오디를 닮았으나, 오디보다 훨씬 큰 열매가 빨갛게 익는데 맛이 매우 좋다. 이 열매로 술을 담그면 맛도 좋거니와 양기.. 약초 이야기(가,나,다) 2013.03.31
국화 ■ 산이나 들에서 핀 국화(감국:甘菊, 山菊)를 채취한다. ■ 깨끗하게 씻어 말린다. ■ 말린 국화를 끓인 꿀에 재운다.(국화와 꿀의 비율은 1:1 내지 1:2로 해도 무방하다.) ■ 3~4주 숙성한 뒤에 음용할 수 있다. ■ 1인분의 양은 1~2스푼의 국화차에 끓는 물을 부어 열탕으로 마신다. ♧국화차 .. 약초 이야기(가,나,다) 2013.03.31
국화 | ‘식국(食菊)’이란 말이 있다. ‘국화를 먹는다’는 뜻이다. 과거에는 양기가 가장 치성한 음력 9월 9일을 중양절(重陽節)이라 했다. 조상들은 이 무렵 피는 국화꽃을 완상하며 술 위에 국화꽃잎을 띄워 국화주를 마셨다. 국화꽃을 아예 날로 먹기도 하고, 국화뿌리를 적시며 흘러나오.. 약초 이야기(가,나,다) 2013.03.31
도라지 (도라지 복용방법) 감기로 목이 아플 때는 도라지 뿌리 3~10g 가량을 300cc의 물에 달여 반으로 줄면 거품을 걷어내고 하룻동안 나누어 마신다. 그런데 도라지만 끓여 먹으면 약효가 너무 강해서 구토를 일으킬 수도 있으므로 감초를 2g 정도 섞는 것이 좋다. 기관지염. 편도선염. 천식으로 목.. 약초 이야기(가,나,다) 2013.02.14
다릅나무 다릅나무와갑상선암 봄부터 가을 사이에 줄기 또는 뿌리의 겉껍질을 벗겨버리고 속껍질을 벗겨 햇볕에 말린 다. 주요 성분으로 시티진과 루피닌, 알칼로이드가 들어 있다. 시티진은 호흡중추흥분작용 을 나타내므로 호흡흥분제로 쓴다. 민간에서는 다릅나무껍질을 진통제로 관절염에 .. 약초 이야기(가,나,다) 2012.11.15
고로쇠 수액 "고로쇠 수액 마시면 고혈압·비만에 효능" 검색하기" class="keyword" href="http://search.daum.net/search?w=tot&rtupcoll=NNS&q=%EA%B3%A0%EB%A1%9C%EC%87%A0&nil_profile=newskwd&nil_id=v20120306200517662" target="_blank">고로쇠수액이 고혈압과 비만억제 효능까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검색하기" class="keyword" href="http://search.daum.. 약초 이야기(가,나,다) 2012.11.12
구기자 구 기 자 옛날부터 불로장생의 영약으로 일컬어지는 구기자는 일찍이 진시황도 복용했던 것으로 전해지고 옛날장수하는 가문이 있어 비결을 알아본 즉 구기자 뿌리가 우물속까지 뻗어 그 물을 마셨기 때문이라는 전설이 있다. 또 중국 노나라의 한 관리가 민정을 살피던중 젊은이가 회.. 약초 이야기(가,나,다) 2012.04.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