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사찰 순례

하동 칠불사

도 우 2013. 4. 2. 18:34

지리산 하동 칠불사

 

 



 

 

하동 쌍계사 주차장에 차를 세우지 않고 도로를 따라 계속 직진하면 약 11km 전방에서 도로가 끝나면서 지리산 칠불사가 있다.

칠불사는 지리산 토끼봉 남쪽 해발 800m 고지에 잇는 사찰로 가락국 김수로왕의 왕자 10명 중 7명이 지리산에 운상원을 짓고 수행하던 중 6년만인 103년 8월 보름에 성불하면서 창건되었다고 한다.

 

 

 

 

현재의 칠불사는 1948년 여순반란사건 때 전소한 뒤 다시 지은 건물인데 아자방 2중 온돌방이 중요 볼거리다.

신라 효공왕 때 담공선사가 축조한 아자방 온돌방은 방모양이 아(亞)자와 같아 아자방이라 불린다.

 

 

 

내부의 구조가 독특한 아자방.

 

 

 

 칠불이 된 가락국 왕자들. 칠불사 대웅전 측면에 조성되어 있다.

 

 

 

 

최근에 복원한 아자방은 길이는 약 8m 이고 네모서리의 높은 곳은 스님들이 좌선하는 장소, 중앙 낮은 곳은 불경을 읽는 장소라 한다.

온돌방의 모양이 독특해 아궁이에 한 번 장작을 태우면 3개월 정도 온기가 유지되었다 한다.

아자방 역시 1951년 소실된 것을 1982년에 복원한 것인데 구들은 원래 그대로인 1천 년 전 것이라고 한다.

 

 

 

 

칠불사에서 시작하는 지리산 등산은 토끼봉으로 연결되는데 대략 3시간이 소요된다.

토끼봉을 경유해 천왕봉으로 종주하는 시간은 대략 15시간 안팎이 소요된다.

칠불사 코스는 오르는 길이 비교적 험하기 때문에 주로 하산 코스로 이용하는 것이 좋다.

 

 

 

싱그러운 햇차향에 일곱 부처님 나투다’

 

지리산 반야봉 해발 800m 고지에 자리잡은 칠불사로 향하는 길에는

5월의 짙어지는 녹음과 산 능선의 녹차 밭이 어우러져 장관을 이루고 있었다.

<삼국사기>를 보면 신라 진흥왕 때 김대렴 공이 당에 사신으로 갔다 차(茶)의 종자를 갖고 오자,

왕은 그것을 지리산에 심게 했다.

지금은 지자체 시대를 맞아 구례와 하동의 차 시배지 논란이 한창이다.

 

온돌을 이중구조로 만들어 한번 불을 지피면 49일이나 온기가 지속된다는 아자(亞字)방으로 유명한 칠불사는

1세기경 가락국 시조 김수로왕의 일곱 왕자가 이곳에 와서 수도한지 2년 만에 성불하였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하지만 현재의 아자방을 비롯한 칠불사는 여순반란 사건 때 국군에 의해 전소된 것을 복원한 것이다.

아자방의 또 다른 특징은 출입구를 신도나 관람객들이 내부를 볼 수 있도록 유리문으로 만든 것이다.

허나 칠불사에 도착한 시간이 해가 산 능선을 넘어갈 때쯤이라 유리문을 통해서도 그 안이 잘 보이지 않았다.

 

마침 저녁공양을 마치고 나오는 주지스님을 발견하고 아자방 내부를 보고 싶은 요량에 운을 떼었다.

하안거 입제 하루 전이라 이미 스님들이 들어와 계셔 곤란하나

운상(雲上)선원은 오늘까지 공사가 있어 문이 열려있으니 살짝 보고와도 좋다고 한다.

아자방 왼쪽 산길로 100m 올라가니 밖에서는 그 존재조차 보이지 않지만,

예로부터 금강산 마하연과 더불어 한반도에서 쌍벽을 이루는 운상선원이 모습을 드러낸다.

 

고색창연한 옛 모습 그대로는 아니지만 아자방 구들만 남아있던 사지에서 어엿한 가람으로 서있는

지금의 칠불사 모습은 우리나라 아픈 현대사와 이후의 성장기를 온전히 담고 있다. 

'전국 사찰 순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팔공산 동화사 2018.11.04  (0) 2020.07.14
문산 월아산 천곡사 2016.04.30  (0) 2016.05.01
해남 달마산 미황사  (0) 2013.03.28
월출산 무위사  (0) 2013.03.24
월출산 도갑사  (0) 2013.03.24